여기 58년 개띠 여가수 한 분이 있다. 가수 나미(羅美)다. 본명은 김명옥이라고 한다. 오래 전부터 나미의 주옥 같은 노래들을 즐겨 들어왔다. 그 중 불후의 명곡은 단연 「슬픈 인연」, 절창이라는 말을 어디에 붙여야 한다면 가수 나미에게 그녀가 부른 「슬픈 인연」 에게 붙인다. 명곡 중에 명곡이라 역시나 리바이발 해서 부른 가수들이 많은데 나미의 노래 외 누구의 노래도 내 귀에 들어 오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나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레게 머리에 힙합 춤을 추면서 「인디언 인형처럼」이라는 노래를 부르는 모습일 것이다. 이 노래로 1990년 방송사에서 주는 가요대상까지 받았다고 한다. 내 선곡 리스트에는 「인디언 인형처럼」 이 없다. 대신 내 선곡 리스트에는 「미운 정 고운 정」이 있고  「슬픈 인연」 이 있다.  「슬픈 인연」 은 이제는 이 땅에서 찾아 들을래야 찾아 들을 수도 없는 스탠더드 팝(standard pop)의 전형이다. 이런 양식의 곡을 좋아하는 아재는 옛 노래만 듣는다. 아재라서 옛 노래만 듣는 것이 아니라 발표되는 좋은 곡이 없어서 옛 노래만 듣는다. 1985년으로 기억된다. 가수 나미가 발표한 「빙글빙글」이라는 노래는 그 시절 샤이키 조명에 딱 어울리는 노래였다. 소풍 가는 날 고등학생들의 어깨에 얹은 카세트 플레이어에서는 「빙글빙글」 이 꼭 나와줘야 했고 이 노래가 나오면 엉거주춤을 꼭 따라 춰 줘야 했다. 그리고 허접 꼴불견 나인티 나인티 나인의 붐이 아니고 제대로인 진짜 백 댄서 붐붐과 함께 「인디언 인형처럼」 을 부르며 토끼춤을 유행시킨 사람도 58년 개띠 여가수 나미다. 그녀의 앨범 디스코그래피를 슬쩍 훑어만 봐도 대중 가요를 부르는 가수로 그녀가 얼마나 넓은 대중 가요의 영역을 소화해냈는지,얼마나 재능 있는 가수였는지 엿볼 수 있다. 인터넷은 시청각 정보로 채워진 공간인데 세상에서 가장 풍요로울 것 같은 인터넷 강국 이 나라의 인터넷 정보는 한 물간 가수를 대접하는데 인색해서 옛날 한 때 가수왕의 반열에까지 오른 나미에 대한 정보는 드물다. 구글에서 왕년의 영어권 인기 가수를 키워드로 검색해보면 마치 줄줄이 사탕처럼 문자 정보며 영상 정보들이 튀어 나오는데 이 정보들은 한 물간 네티즌들이 모여 만든 인터넷 강국에서는 다루지 않는 한 물간 정보들일까? 58년 개띠인 나미는 1967년에 처음 가수 활동을 시작했단다. 그 한 줄 정보로 유추하자니 아주 어린 시절부터 노래를 엄청 잘 불렀고 직업 대중 가수로 나서기 쉬운 환경에서 태어나고 성장했을 듯싶다. 책 가방 끈이 세상살이의 연줄로 통하는 이 땅에서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기가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했을 성 싶기도 하다. 키가 158cm라고 하는데 나이를 생각하자면 작은 키는 아니다. 오래 전 불후의 명곡을 자주 시청했었다. 히트곡을 많이 낸 대중 가수를 초대해서 소개하는 가진 프로그램인데 나미가 빠져서는 안되었을 것이다. 가수 나미의 출연 방송을 참 포근한 마음으로 시청했다. 방송 도중 진행자가 나미의 지난 이력을 소개하더니 1990년 「인디언 인형처럼」 을 발표하고 인기 절정의 순간 소리 소문도 없이 사라지셨는데 왜 그러셨냐 물었더니 나미는 모기 같은 목소리로 혼잣말처럼 “나는 내 한계를 알았던 거지”라고 대답했다. 몸 개그라도 해야 뜨는 방송이기에 그런 진지한 대답은 들려서도 들어서도 안되었을 것이다. 진행자는 화제를 돌리고 말았지만 내 귀에는 방송이 끝날 때까지 그 대답만 자꾸 오버랩 됐다. 유명인 기준으로 조용하게 평범하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수 나미는 은퇴 후 조용하게 평범하게 잘 살아온 듯싶었다. 그런 나미의 모습을 자주 보았으면 좋겠다 싶지만 어쩌면 이 분 이 어처구니 없는 세상에 세월 속에 아름다운 퇴장이 무엇인지 아는 분이겠거니 싶기도 했다. 소리 소문도 없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다른 삶을 살고 싶었을지도 모르고 또 그 길을 스스로 택해 살아간 것일 게다.

건전한 표현으로 우리들이 이성에 눈을 뜬 시기에 천연색 컬러로 우리들 눈 앞에 펼쳐진 이성의 로망은 그 시절 트로이카 여배우들이었고 애마들이었으며 또 여가수들이었다. 게으른 탓에 오래 전에 플레이어에 담아둔 나미의 노래를 듣다가 오늘 선곡을 바꾸기 전에 나의, 우리들의 “누나” 이야기 한 자락 더 남겨 놓자 싶어 내가 읽기에도 허접한 또 읽어 주는 사람도 별로 없을 장광설을 오늘도 늘어 놓고야 말았다.

'플레이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디에도, 있을 수 있는 일  (0) 2025.08.22
Here Comes The Sun  (0) 2025.03.17
예써 아이캔 부기  (0) 2025.01.28
인생의 기쁨 인생의 행복  (0) 2025.01.26
몰리 말론  (0) 2025.01.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