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Surrealism and Korean Modern Arts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Deoksugung annexe, Seoul, Korea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렸던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은 그간 내가 본 최고 전시였을 뿐 아니라 전시 작품이 200점이 넘던 큰 전시여서 한 번 더 가서 지난 관람에서 대충 봤던 작품들을 자세히 들여다볼까 싶어 검색해봤더니 7월 6일로 이미 전시가 종료되어 있었다. 이 전시는 우리 국립현대미술관이 새로 발굴했다 내세우는 우리 근대미술의 대가 김종남(마나베 히데오), 김욱규 등 초현실주의 작가로 분류되는 여섯 작가 분의 작품들을 따로 섹션을 마련하여 소개하였고 한편 전시 프롤로그 격으로 1 전시실에서 우리 근현대 미술사에서 초현실주의 작품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었는데 이 전시 중 김종남, 김욱규 그리고 김종하 세 작가 분의 전시 작품은 이미 편집하여 포스팅으로 남겨 두었고 전시 종료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는 기분으로 1 전시실에서 담아온 작품들을 편집하여 올린다.
서유럽 기준으로 근대와 현대를 가르는 분기점을 대개 1914년부터 1918년까지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삼는 것으로 아는데 한편으로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이 전시에 소개된 작품들은 전부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 심지어 1980년대 작품들이라 국립현대미술관이 우리 미술사에서 근대와 현대를 무슨 기준으로 분류하나 전시 보며 궁금하고 의아했다. 게다가 전시 작품 증 이중섭이 그린 소품들과 박래현, 천경자의 작품이 초현실주의 미술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내가 미알못이라 그런지 좀 억지 아니냐는 느낌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데 뭐 그것은 이 훌륭한 전시의 흥행을 위한 국립현대미술관의 애교로 치고 다만 처음 직관한 이쾌대의 작품 「2인 초상」은 1 전시실에서 느낀 미알못의 궁금과 의아, 억지스러움을 한방에 날려 버린 취향 학시리 저격한 감동적인 작품이었다. 2025. 5.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BGM: Secret Garden - First Day of Spring
박현규, 신 천지창조(新 天地創造), 1992, 국립현대미술관
강환섭, 무한(無限), 1977, 국립현대미술관
변종곤, 무제, 1989, 서울시립미술관
김홍주, 무제, 1977, 대구미술관
이석주, 일상, 1988, 서울시립미술관
한만영, 시간의 복제 87-7, 국립현대미술관
박불똥, 현대묘파트, 1985, 국립현대미술관
안창홍, 인간 이후, 1979, 국립현대미술관
임세택, 서울 1975, 1975, 국립현대미술관
조영자, 물긷던 아이의 휴식, 199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일호, 무제, 1985,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변영원, 반공여혼, 1952, 국립현대미술관
우창훈, 휘어진 공간의 사건, 1978, 대구미술관
곽인식, 작품, 1955, 개인 소장
유강열, 무제, 1958,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구본창, 기억의 회로, 1988, 국립현대미술관
육명심, 초기 사진 시리즈-서울 인사동, 1966, 국립현대미술관
육명심, 초기 사진 시리즈-서울 종로구, 1967, 국립현대미술관
육명심, 검은 모살뜸 시리즈-제주 삼양, 1983, 국립현대미술관
정기호, 의식의 계단, 1975, 국립현대미술관
임응식, 정물 3, 1949, 국립현대미술관
임응식, 백일몽, 1946, 국립현대미술관
임응식, 정물 2, 1949, 국립현대미술관
황용진, 인간-87005, 1987, 국립현대미술관
문학진, 미생계의 추상, 1958, 국립현대미술관
박영선, 꿈, 1957,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꽃-S(마크리트에게 표하는 경의), 1981,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우산, 1981,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분홍색 손수건과 달걀, 1981,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두 개의 기둥과 하얀 손수건, 1973,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잔디 위의 두개의 손수건, 1973, 국립현대미술관
황규백, 사다리 1979,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권옥연, 회고(回顧), 1965-1973,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김병기, 유연견남산, 1965, 국립현대미술관
천병근, 불, 1983, 고려대학교박물관
천병근, 무제, 1957, 유족 소장
곽인식, 작품, 1958, 개인 소장
손수광, 무제, 1976년경, 유족 소장
정강자, 자화상, 1994, 국립현대미술관
천경자, 전설, 1962, 고려대학교박물관
김원숙, 나무 그림자, 1979, 국립현대미술관
박래현, 여인과 고양이, 1959,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쾌대, 2인 초상, 1939, 개인 소장
전화황, 잠자는 남자, 1950, 영암군립하정웅미술관
정규, 달과 소년, 1590년대 초반,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최영림, 검은 태양, 1959, 경남도립미술관
곽인식, 긴 머리 소녀, 1946, 대구미술관
최영림, 제주의 뱀 전설, 1951, 경남도립미술관
송혜림, 설화, 1942, 국립현대미술관
전화황, 춘향의 재회, 1978, 광주광역시립미술관
진환, 날개 달린 소와 소년, 1930년대-1940년대 추정, 국립현대미술관
이중섭, 소와 여인, 1942,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반우반어(半牛半魚), 1940,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소와 여인, 194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소와 여인과 아이들, 195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물고기와 여인, 194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줄타는 사람들, 194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저울질 하는 사람, 194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중섭, 사다리를 타는 남자, 1941,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전시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 오지호 (2) | 2025.08.04 |
---|---|
MMCA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2: 김욱규 (1) | 2025.06.25 |
MMCA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1: 김종남(마나베 히데오) (1) | 2025.06.19 |
갤러리현대 -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 (0) | 2025.05.16 |
김다슬 개인전 - 생존의 방식: 온유하게 (0) | 2025.05.15 |